종아리통증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종아리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기능성소화불량 증상, 속쓰림, 치료

기능성소화불량 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정식명칭은 기능성 위장 장애(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라고 하며 특별한 원인없이도 소화불량, 속쓰림, 구토 등의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의 질환을 의미합니다.
식사 후 항상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되는 경우 특별한 이상을 찾기 어려워도 증상이 몇개월동안 지속되면 ‘기능성 소화불량’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기능성소화불량 증상
기능성소화불량의 증상은 만성위염과 비슷합니다.
- 식 후 체한 느낌
- 속쓰림, 소화불량
- 조금만 먹어도 배부른 느낌
- 식 후 배의 팽창
- 트림 및 메스꺼운 증상
이런 증상들은 위장의 기능저하로 인해 위에 들어간 음식물을 십이지장으로 밀어내는 움직임이 약화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속쓰림이나 복통은 위나 십이지장의 점막이 위산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기능성소화불량 원인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하나로 스트레스로 인한 자율신경의 문제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정서적인 요인은 신경이 예민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위장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죠.
기능성소화불량 진단
일반적으로 위 내시경, 복부 초음파, 복부 CT, 헬리코박터균 검사 등을 통해 소화기 질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별한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소화 불량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소화불량 치료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 후에는 위의 기능을 강화하고 운동을 촉진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능개선제, 소화제, 가스제거제, 헬리코박터균제거약, 변비약, 설사약 등이 처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기에 더해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도 증상에 따라 복용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정신적원인이 큰 경우에는,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처방 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의 개선 및 예방
소화 불량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데에는 식습관의 개선이 중요합니다.
음주를 삼가고 고지방 식품 등 소화에 어려움을 주는 음식의 섭취 및 담배, 카페인, 탄산음료등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걷기 같이 위와 장에 적절한 자극을 주는 운동과 함께 적절한 식이요법을 병행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식사 후에는 어느 정도 소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눕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산책을 하거나 가벼운 운동을 통해 소화를 돕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운동이 몸과 장을 자극하고, 장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결국 소화 불량은 우리 몸의 신호입니다. 우리의 생활 습관, 식사 패턴, 심리적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강한 생활 습관과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하면서, 스트레스 관리에도 힘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된 글>